차한잔의여유
화씨, 섭씨
건강,웃음,행복
2011. 2. 1. 17:56
■ 화씨(℉)
1720년경에 독일의 파렌하이트(Gabriel Daniel Fahrenheit)가 처음으로 제안한 온도의 단위.
피렌하이트는 물이 어는 온도와 끓는 온도 사이를 180 등분해서 온도 단위를 정했는데, 물이 어는 온도를 0 도로 한 것이 아니라, 그 당시로서 사람이 만들 수 있는 가장 차가운 온도인 소금물이 어는 온도를 0 도로 정했다.
그렇게 하다 보니 순수한 물이 어는 온도는 0 도가 아니라 32 도가 되었고, 끓는 온도는 212 도가 되었다. 이 온도를 파렌하이트의 이름을 따서 F로 표시하였고, 영어로 파렌하이트라고 발음하던 것을 우리나라에서는 외래어로 '화씨(華氏: 華는 '파'의 음차)' 온도라고 읽게 되었다.
■ 섭씨(℃)
1742년에 스웨덴의 셀시우스(Anders Celsius)가 제안한 것으로 요즘은 전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통용되고 있다. 섭씨(攝氏: 攝은 '셀'의 음차). 1기압하에서 얼음의 녹는점을 0 ℃, 물의 끓는점을 100 ℃로 하여 그 사이를 100등분하여 한 눈금의 온도차를 1 ℃로 했다.
[화씨를 섭씨로 변환 공식] (화씨온도 - 32) ÷ 1.8 = 섭씨온도
[섭씨를 화씨로 변환 공식] (섭씨온도 × 1.8) + 32 = 화씨온도